Lesson 6. 코딩드론으로 모션코딩해요
[들어가기]
이번 강의에서는 코딩드론으로 언플러그드 코딩의 2번째 기능인 모션코딩을 해보려고 합니다.
먼저 모션코딩이 무엇인지 알아볼까요?
|
모션코딩이란?
|
|
☞ 코딩드론의 몸체를 기울여서 기울이는 방향에 따라 비행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코딩 방식입니다.
비행 명령은 총 4가지로, 앞쪽으로 기울이면 1m 전진, 뒤쪽으로 기울이면 1m 후진, 왼쪽으로 기울이면 1m 좌로 이동, 오른쪽으로 기울이면 1m 우로 이동입니다. ☞ 코딩드론에는 내부 메인보드에 6축 자세센서가 장착되어 있는데, 이 자세센서가 코딩드론의 기울어진 방향과 각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. |
|
|
※ 6축 자세센서
|
|
|
▶ 6축 자세센서는 3축 가속도 센서와 3축 자이로 센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여기서 3축은 물체의 중심을 기준으로 X축(가로), Y축(세로), Z축(수직)을 말합니다.
▶ 가속도 센서는 각 축에 작용하는 중력가속도를 측정하여 현재 물체가 현재 어떤 방향으로 얼만큼 기울어져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 ▶ 자이로 센서는 각 축에 작용하는 각속도(회전하는 각도의 변화량)를 측정하여 현재 물체가 어떤 방향으로 얼만큼 기울어져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 ▶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는 사용 용도가 같지만 각 센서가 갖고 있는 단점들을 상호 보완하여 더욱 정밀한 측정을 할 수 있습니다. |
모션코딩이 무엇인지 알았나요? 이제 모션코딩으로 코딩드론를 날려보아요.
[모션코딩 방법]
모션코딩은 다음 순서로 실시합니다.
![]() |
![]() |
|
① 모션 인식시키는 방법은 코딩드론을 손에 들고 평형을 유지한 상태에서, 각 명령에 맞게 코딩드론을 기울였다가 다시 원위치 시키면 됩니다.
기울였을 때 부저음(띠딕)이 울리고, 다시 원위치 시켰을 때 부저음(띠)이 울리면 정상적으로 모션 명령이 입력된 것입니다. ※ 코딩드론을 기울일 때 30도 이상 기울여주세요. ② 모션코딩 실행 방법은 코딩드론을 평평한 곳에 놓고 동작버튼을 2번 연속으로 누르면 약 2~3초 후에 부저음(띠리릭)이 울리면서 자동으로 실행됩니다. ※ 실행 후 즉시 드론으로부터 안전거리만큼 떨어집니다. 안전사고 주의! ③ 한 번 입력된 코딩 명령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계속 실행할 수 있습니다. 단, 코딩드론의 전원이 꺼지거나 “코딩 시작” 카드를 다시 읽으면 초기화됩니다. |
[코딩 실행하기]
모션코딩으로 목적지 찾아가기 놀이를 해볼거예요.
먼저 아래와 같이 바닥에 활동판을 만들어보아요.
한 변의 길이가 1m인 정사각형 9개를 아래 그림과 같이 바닥에 테이프를 붙여 만들고 각 사각형 안에 숫자를 표시합니다.
|
모션코딩 실습판
|
|
|
1단계
|
코딩 입력하기
|
||
![]() |
① 1m 우로 이동
|
② 1m 우로 이동
|
|
|
|
||
|
③ 1m 전진
|
④ 1m 전진
|
||
|
|
||
|
① 코딩드론이 출발할 위치와 도착할 위치의 번호를 친구가 말해주면 어떻게 주행할지 생각합니다. (ex: 7번에서 출발하여 3번으로 가세요.)
※ 이때, 출발 위치에서 코딩드론의 앞쪽을 어느 방향(동서남북 중 선택)으로 할지도 친구가 지정해줍니다. (ex: 앞쪽을 북쪽 방향으로 놓으세요.) ② “모션코딩 모드” 카드와 “코딩 시작” 카드를 순서대로 읽고, 평형을 유지한 채 코딩드론을 들어올려서 코딩 명령을 입력합니다. ③ 코딩 명령을 모두 입력시킨 후 “코딩 끝” 카드를 읽어서 코딩을 완료합니다. |
|||
|
2단계
|
코딩 실행하기
|
||
![]() |
|||
|
코딩드론을 7번 위치에 올려놓고 동작버튼을 연속으로 2번 눌러서 코딩을 실행한 후 즉시 드론으로부터 안전 거리(2m)만큼 떨어집니다.
약 2~3초 후 코딩드론이 자동으로 코딩한 명령을 수행합니다. 코딩드론이 3번 위치까지 잘 이동하는지 확인하고, 만약 이동하지 않으면 어떤 부분이 잘못됐는지 확인하여 수정 후 재실행합니다. |
|||
모션코딩으로 코딩드론을 도착지까지 잘 이동시킬 수 있었나요?
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가는 경로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. 다른 경로도 모션코딩으로 비행해보고, 친구들과 출발지와 도착지를 바꿔가면서 모션코딩 놀이를 즐겨보아요.
그리고 만약 드론이 비행 중일 때 갑자기 멈춰야 한다면, 앞서 배운 것처럼 조종기를 사용하여 조종모드로 변환 후 착륙시키면 됩니다.
조종기와 드론은 페어링이 되어있는 상태여야 하고, 조종기의 레버를 움직이면 바로 조종모드로 변환됩니다.
다시 모션코딩 모드로 전환하려면 “모션코딩 모드” 카드를 읽어주면 됩니다.
[정리하기]
이번 강의에서는 코딩드론의 2번째 언플러그드 코딩 기능인 모션코딩을 해보았습니다.
모션코딩을 할 때, 센서가 코딩드론의 기울어짐에 민감하기 때문에 평형을 잘 유지한 상태에서 정확한 방향으로 기울여야 합니다.
그리고 카드코딩과 동일하게 코딩의 처음과 끝에 “코딩 시작”과 “코딩 끝” 카드를 읽어줘야 한다는 것을 잊지 마세요.
|
1) 코딩드론으로 “모션코딩 모드” 카드를 읽으면 모션코딩 모드로 설정됩니다.
2) 모션코딩은 코딩드론을 특정 방향으로 기울여서 코딩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, 코딩 명령은 총 4가지입니다. ☞ 앞쪽 : 전진 / 뒤쪽 : 후진 / 왼쪽 : 좌로 이동 / 오른쪽 : 우로 이동 (이동 거리=1m) 3)코딩드론의 내부 메인보드에 장착된 6축 자세센서가 기울어진 방향과 각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. 4)코딩드론을 기울일 때, 30도 이상 기울여야 하고 다시 원위치로 돌아와야 정상적으로 코딩 명령이 입력됩니다. |
드론으로 코딩해요
- 코딩드론과 친구해요
- 코딩드론을 날려보아요
- 코딩드론으로 카드코딩해요(1)
- 코딩드론으로 카드코딩해요(2)
- 코딩드론으로 카드코딩해요(3)
- 코딩드론으로 모션코딩해요
- 코딩드론으로 블록코딩해요(1)
- 코딩드론으로 블록코딩해요(2)
Modified : 2021.1.15



